“문화는 나라의 얼굴이다.” 이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는 삶을 산 이가 있습니다. 바로 일제강점기라는 혼란한 시기 속에서도 조선의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전 재산을 바친 간송 전형필입니다.
그가 없었다면 오늘날 훈민정음 해례본, 고려청자, 겸재 정선의 화첩 등 수많은 국보급 유물은 일본에 반출되었을지 모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송 전형필의 생애와 그가 지켜낸 조선 문화의 소중함, 그리고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를 살펴봅니다.
1. 간송 전형필은 누구인가?
전형필(1906~1962)은 조선 후기 명문가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문화재 수집과 연구에 헌신한 실업가이자 예술 후원가입니다. 그는 ‘간송(澗松)’이라는 호를 사용했으며, 한국 최초의 사립 박물관인 보화각(현 간송미술관)을 설립했습니다.
- 출생: 1906년, 서울
- 학력: 일본 와세다대학 법학부 중퇴
- 주요 업적: 문화재 수집, 보화각 설립, 예술가 후원
- 별칭: 조선 문화의 파수꾼
2. 일제강점기, 사라져 가던 조선의 유산
20세기 초, 일본은 조선을 병합하면서 수많은 문화재를 본국으로 반출했습니다. 한반도 전역의 사찰, 고택, 서화 작품, 도자기, 금속 공예품 등이 경매나 매입이라는 형식으로 착취되었으며, 당시의 문화재는 자본가나 일본인 수집가의 전유물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형필은 젊은 나이에 조국의 문화가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나섰습니다. 상속받은 막대한 재산을 모두 문화재 구입에 쏟아부으며, 조선의 정신을 지켜낸 것입니다.
3. 전형필이 지킨 국보급 유산들
① 훈민정음 해례본
1940년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을 때, 일본인 수집가도 이 유물에 눈독을 들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형필은 당시 거금 1만 원(지금의 수억 원 상당)을 들여 이를 매입합니다. 이로 인해 오늘날 우리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된 훈민정음을 보존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② 고려청자와 조선 백자
그는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문화사적 가치를 누구보다 높게 평가했습니다.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를 수백 점 이상 수집했으며, 오늘날 국립중앙박물관과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③ 겸재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의 회화
조선 후기의 대표 화가들의 작품 역시 전형필의 수집 목록에 있었습니다. 그는 단순히 그림을 보존한 것이 아니라, 화첩의 보존 상태까지 고려하며 복원과 관리에 앞장섰습니다.
4. ‘보화각’의 설립과 문화재 공개
1938년, 전형필은 서울 성북동에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미술관인 보화각(寶華閣)을 세웁니다. 이곳은 단순한 전시공간이 아니라, 잃어버릴 뻔한 문화정신을 되살리는 거점이었습니다.
그는 누구보다 조선 문화의 대중화를 중시했으며, 청소년과 학자들에게 무료로 유물을 공개했습니다. 이는 그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일이었습니다.
5. 간송 전형필이 남긴 유산
전형필의 삶은 ‘문화유산은 곧 나라의 뿌리’라는 가치를 증명합니다. 그는 스스로를 내세우지 않고, 오직 유물을 후손에게 온전히 전하는 데 일생을 바쳤습니다.
그가 지켜낸 유산은 지금도 간송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 고미술계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의 정신은 후손들이 이어가고 있습니다.
6. 우리는 무엇을 기억해야 하는가
간송 전형필은 말하지 않았지만, 행동으로 보여준 인물입니다. 그는 민족 정체성과 문화적 자존감을 유물 수집이라는 방법으로 수호했습니다.
우리는 단지 그의 수집품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그가 지키고자 했던 문화의 의미를 기억해야 합니다. 그가 보여준 용기와 책임감은, 오늘날 한국 사회가 세계 속에서 문화 강국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밑거름이 됩니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유사 속 귀신과 도깨비의 차이점 – 전통 민속 신앙의 실체 (0) | 2025.07.04 |
---|---|
문화재 환수, 법적 가능성과 한계 (0) | 2025.07.03 |
훈민정음, 세종대왕이 말한 문자 창제의 철학 (0) | 2025.07.01 |
정감록 해석: 조선 민중의 미래를 향한 외침 (0) | 2025.06.30 |
이순신의 진실, 『난중일기』 속 조선의 민낯 (0) | 2025.06.20 |